티스토리 뷰
여름에 냉방시설이 되 있는 사무실이나 집에 오래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통틀어 냉방병이라고 부릅니다.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냉방병과 에어컨의 냉각수나 공기 속의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느 발생하는 냉방병으로 나뉘기도 하는데요. 질환에 따른 증상으로는 감기나 몸살과도 같은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고 무기력감이나 권태감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냉방병의 원인은 차가운 실내와 뜨거운 실외의 온도차이로 인해 가장 많은 발병이 된다고 합니다. 냉방이 잘된 실내의 낮은 온도와 밖의 높은 온도를 오가면 우리 몸은 온도에 대한 적응 과정을 되풀이 하는데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 자율신경계가 예민해지기 때문에 냉방병에 쉽게 걸릴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에어컨을 쉴 새 없이 틀어두면 실내의 습도는 30~40%까지 낮아지며, 이 때문에 호흡기 점막이 바짝 말라 감기, 인후염 등의 증상을 더욱 빠르게 유발하는 환경이 조성된다고 합니다.
레지오넬라증이라 불리는 것 또한 냉방병의 일종인데요. 에어컨의 냉각수와 공기를 오염시킨 레지오넬라균이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감염시켜 발생한다고 합니다. 평소부터 몸이 허약하거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더욱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기 쉽다고 합니다.
밀폐건물증후군(빌딩증후군)이라 하여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증상 또한 냉방병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환기를 잘하지 않아 실내에 먼지, 담배연기는 물론 카펫, 복사기 등에서 생기는 이물질이 쌓이면 밀폐건물증후군으로 분류되는 냉방병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냉방병 증상으로는 경미한 두통이나 어지럼증, 소화불량, 근육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기도 하며 증상이 심각할땐 그 정도가 더욱 심회된다고 합니다. 또한 레지오넬라증(레지오넬라 감염증)은 고열과 오한, 근육통, 심한 기침, 재채기, 코막힘, 소화불량 및 복통, 설사 등 다양한 복합적인 증상을 보일수 있다고 하네요.
초기에는 감기와도 비슷한 증세가 이어지지만 지속될 수록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손발에 부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릎, 발목 등의 관절이 시리거나 결리는 등의 증상이 동반 되기도 합니다.
냉방병 치료는 생활환경을
개선하면 경미한 증상일 경우에는
빠르게 사라진다고 합니다.
실내외 기온 차를 가급적 편차를 줄여 근육이 경직되거나 몸이 굳지 않게 온도차를 5도 이내로 맞춰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틈틈이 외부 바람을 쐬며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몸과 근육을 풀어줍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으로 면역력을 키워준다면 왠만한 환경에 노출되도 쉽게 질환이 악화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냉방병 예방법 위해서는 쾌적한 실내 환경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대중교통 운전자나 사무직 직원은 물론 어린이, 노약자, 몸이 마른 여성, 만성 피로 환자들은 특히 예방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건강을 지키는데 좋습니다.
평소에 올바른 생활습관으로는.. 실내 기온이 2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하며, 실내외 기온 차는 5도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에어컨의 찬바람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1시간 가동하고, 30분 정지하는 것과 같이 실내의 순환이 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냉방 1~2시간 간격으로 환기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에어컨 필터는 2주에 1회 정도 청소를 해주어야 레지오넬라증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수 있다고 합니다.
'건강 상식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면취하는법 8가지♥ (0) | 2016.08.12 |
---|---|
오메가3 효능 유익할까요? (필수지방산) (0) | 2016.08.05 |
아로니아 효능 알아볼까융! (0) | 2016.07.08 |
우엉 효능 알고 먹자구요♥ (2) | 2016.07.07 |
토마토 효능 총정리♥(라이코펜효능) (0) | 2016.06.02 |